프로필사진
FE_Log
JunO3O
웹 개발
웹 개발

2023. 3. 21. 03:10비공개

인터넷(Internet)

 

: 기본적으로 인터넷이란 연결된 장치 묶음일 뿐입니다.

: 오늘날에는 모든 장치들이 그 묶음에 포함됩니다.

: N 대 N 의 컴퓨터끼리 통신을 할 때는 라우터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습니다. 

: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들을 의미하며 월드 와이드 웹을 포함하여 많은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입니다. 

 

웹(Web)

 

: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들의 묶음입니다.

: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웹 사이트를 공유하고 관심 있는 웹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보통 웹으로 알려진 월드 와이드 웹은 인터넷을 통해 문서와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입니다.

: 이러한 리소스나 문서들은 URL로 식별됩니다.

: URL로 이동하거나 웹 브라우저로 웹 사이트를 볼 때 우리는 기본적으로 웹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웹 브라우저는 우리가 웹 리소스를 요청하고 볼 수 있게 해줍니다. 

: 웹의 실제 작동 방식으로서의 정보 전송 방식에는 프로토콜(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이 있습니다.  

: 웹에서는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방식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 프로토콜이란 특정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대한 일련의 표준화된 규칙입니다. 

: 즉, 웹이 인터넷을 통해 리소스를 공유하는 시스템이며 http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HTTP  요청(Request) / HTTP 응답(Response)

 

: 먼저 클라이언트(Client)란 요청을 보내는 쪽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웹 관점에서는 브라우저를 의미하며, 서버(Server)란 요청을 받는 쪽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웹 관점에서는 요청에 대한 결과를 보내주는 원격지의 컴퓨터를 말합니다. 

: HTTP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요청(Request)을 보내고 응답(Response)을 받아야 합니다.

 1. 만약 사용자(Client)가 구글 검색창에 '사과'라는 것을 검색한다면, '사과'에 대한 HTTP 요청(Request)을 Google 서버(Server)로 보냅니다.

2. 해당 요청은 최종적으로 Google 서버(Server)에 전달됩니다. 그리고 Google 서버(Server)는 들어오는 요청을 받습니다.

3. Google 서버(Server)에서는 들어오는 요청과 사용자(Client)가 요청하는 URL을 기반으로 사용자(Client)가 무엇을 요청하는지를 파악합니다.

4. 그 후 검색 결과가 무엇인지, 순위는 어떤지, 몇 페이지를 만들지 파악하여 웹 페이지 구축을 진행합니다. 

5. 그리고 나서 HTML, CSS, JavaScript 등으로 응답(Response)을 합니다. 

6. 그러면 브라우저는 HTML, CSS, JavaScript 등의 내용을 가져와 웹 페이지로 변환하여 보여줍니다. 

 

HTML / CSS / JavaScript

 

- HTML = Cat                                                                                 " The Black Cat Danced "

: HTML은 페이지의 내용을 설명합니다. 

- CSS = Black

: CSS는 페이지의 내용 설명을 보조하는 디자인적 요소입니다.

- JavaScript = Danced

: 동적인 요소를 적용할 때 사용합니다. 

'비공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선택자  (1) 2023.03.21
CSS : 기초  (1) 2023.03.21
HTML : 폼, 테이블  (0) 2023.03.21
HTML : 시맨틱(Semantics)  (0) 2023.03.21
HTML 기초  (0) 20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