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사진
FE_Log
JunO3O
HTML : 폼, 테이블
HTML : 폼, 테이블

2023. 3. 21. 03:11비공개

HTML 테이블

 

: 표는 2차원 행과 열 구조로 되어 있는 데이터 테이블을 말하는 것입니다.

 

<table> :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입니다.

<tr> : table row를 줄일 말로 표 안에 있는 셀들이 모인 행을 말합니다. 

<th> : 헤더를 정의합니다.

<td> : 테이블 데이터 셀을 줄인 말로 단일 셀을 나타냅니다.

<thead> : 표의 헤더 영역을 지정합니다. 

<tbody> : 표의 여러 행을 묶어서 표의 본문을 구성합니다. 

<tfoot> : 테이블의 열을 요약하는 행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colgroup> : 표의 열을 묶는 그룹을 지정합니다. 

<caption> : 표의 설명 또는 제목을 나타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Foods and Ingredients Harmful to Dogs</title>
  </head>
  <body>
    <h1>Foods and Ingredients Harmful to Dogs</h1>
    <table>
      <caption> 강아지에게 해로운 음식들과 미치는 영향</caption> <!-- 표의 설명 또는 제목을 나타냅니다. -->
      <thead> <!-- 표의 헤더 영역을 지정합니다. -->
        <tr> <!-- 표 안에 있는 셀들이 모인 행을 의미합니다. -->
          <th>문제 음식</th> <!-- 표의 헤더 데이터를 정의합니다. -->
          <th>문제 성분</th>
          <th>섭취 후 증상</th>
        </tr>
      </thead>
      <tbody> <!-- 표의 본문을 구성합니다.-->
      <tr>
        <td>초콜릿</td> <!-- 테이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
        <td>메틸잔틴 : 카페인, 테오브로민</td>
        <td>구토, 탈수, 근육 경련, 발작, 복통</td>
      </tr>
      <tr>
        <td>우유, 치즈(유제품)</td>
        <td>유당</td>
        <td>구토, 설사, 기타 위장장애 가능</td>
      </tr>
      <tr>
        <td>마카다미아</td>
        <td></td>
        <td></td>
      </tr>
      </tbody>
    </table>
  </body>
</html>

 

colspan / rowspan

 

ㅁ colspan 

: 하나의 셀 또는 행을 여러 열로 나누고 둘 이상의 열로 합병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Document</title>
    <style>
      td {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black;
      }
    </style>
  </head>
  <body>
    <table>
      <colgroup>
        <col style="width: 100px" />
        <col style="width: 100px" />
        <col style="width: 100px" />
        <col style="width: 100px" />
        <col style="width: 100px" />
      </colgroup>
      <caption>
        <b>수강생 명단</b>
      </caption>
      <thead>
        <tr>
          <th>번호</th>
          <th>이름</th>
          <th>학번</th>
          <th>학과</th>
          <th>비고</th>
        </tr>
      </thead>
      <tbody>
        <tr>
          <td>1</td>
          <td>홍길동</td>
          <td>20152015</td>
          <td>경제학과</td>
          <td>-</td>
        </tr>
        <tr>
          <td>2</td>
          <td>이순신</td>
          <td>15921592</td>
          <td>군사학과</td>
          <td>-</td>
        </tr>
        <tr>
          <td>3</td>
          <td>박지성</td>
          <td>20022002</td>
          <td>체육학과</td>
          <td>-</td>
        </tr>
        <tr>
          <td>4</td>
          <td>스티브</td>
          <td>20102010</td>
          <td>반도체공학과</td>
          <td>-</td>
        </tr>
        <tr>
          <td>5</td>
          <td>아무개</td>
          <td colspan="3">자퇴</td>
          <!-- colspan은 정한 숫자만큼의 열을 하나의 행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
          <!-- 원래는 아래와 같이 나열되어 있었지만 하나로 묶기 위해서는 자리를 비워줘야 합니다.  
            <td>20102010</td>
            <td>반도체공학과</td>
            <td> - </td>
          -->
        </tr>
      </tbody>
    </table>
  </body>
</html>

5번 아무개의 자퇴로 인해 학번, 학과, 비고 칸을 colspan="3"을 통해 하나로 묶어 자퇴 처리하였다.

 

ㅁ rowspan

: 하나의 셀을 두개 이상으로 확장하거나 셀을 여러 행으로 나눌 때 사용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Document</title>
    <style>
      td {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black;
      }
    </style>
  </head>
  <body>
    <table>
      <colgroup>
        <col style="width: 100px" />
        <col style="width: 100px" />
        <col style="width: 100px" />
        <col style="width: 100px" />
        <col style="width: 100px" />
      </colgroup>
      <caption>
        <b>수강생 명단</b>
      </caption>
      <thead>
        <tr>
          <th>번호</th>
          <th>이름</th>
          <th>학번</th>
          <th>학과</th>
          <th>비고</th>
        </tr>
      </thead>
      <tbody>
        <tr>
          <td>1</td>
          <td>홍길동</td>
          <td>20152015</td>
          <td>경제학과</td>
          <td>눈에 보이는듯 안보임</td>
        </tr>
        <tr>
          <td>2</td>
          <td>이순신</td>
          <td>15921592</td>
          <td>군사학과</td>
          <td rowspan="3">-</td>
        </tr>
        <tr>
          <td>3</td>
          <td>박지성</td>
          <td>20022002</td>
          <td>체육학과</td>
          <!-- 위에서 rowspan="3"이라는 값으로 비고를 하나의 칸으로 묶어 버렸기 때문에 자리를 비워줘야 한다.
            <td> - </td> 
          -->
        </tr>
        <tr>
          <td>4</td>
          <td>스티브</td>
          <td>20102010</td>
          <td>반도체공학과</td>
        </tr>
        <tr>
          <td>5</td>
          <td>아무개</td>
          <td colspan="3">자퇴</td>
        </tr>
      </tbody>
    </table>
  </body>
</html>

2,3,4번의 비고는 -로 동일하므로 rowspan="3"을 통해 하나로 묶었다.

=> rowspan은 밑으로우~ 묶을 수 있고, colspan은 c의 오른쪽이 뚫려있듯이 옆으로 묶을 수 있다. 단, 묶을 때는 묶는 자리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비워줘야 한다.

 

폼(form)

 

: 폼(form)은 여러 개별 폼 컨트롤을 품는 컨테이너에 가깝습니다.

: 이메일, 이름, 비밀번호 입력 칸 등을 하나의 폼으로 묶어 사용합니다.

: 폼 요소는 폼을 제출했을 때 폼 데이터를 어디로 보낼지 지시합니다.

<form action="보낼 목적지">     <!-- action 속성은 폼이 제출되었을 때, 데이터를 보낼 위치와 속성을 지정합니다.-->
  	<!-- 입력 폼 작성 --> 
</form>

ex)
<form action="/강아지">
            <label for="username"> 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label>     <!-- 입력 폼 작성 -->
            <input type="text" placeholder="아이디를 입력하세요" id="username" name="username" />
</form>

 

입력 양식 <input>

 

: <input> 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대화형 컨트롤을 생성합니다.

: <input> 은 type 속성과 함께 사용하며, type 에 따라 입력 양식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 <input> 은 닫는 태그가 없습니다.

<input type="입력 양식 종류">
ex)
<input type="text">     <!-- text 를 입력받는 양식을 만듭니다. -->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Forms</title>
</head>
<body>
    <h1>Forms 연습</h1>
    <form action="/강아지/">
        <p>
            <label for="username"> 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text" placeholder="아이디를 입력하세요" id="username" name="username" /><br /><br />
        </p>
        <p>
            <label for="password"> 패스워드를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password" placeholder="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id="password" name="password" /><br /><br />
        </p>
        <p>
            <label for="color"> 색상을 선택하세요 : </label>
            <input type="color" id="color" name="color" /><br /><br />
        </p>
        <p>
            <label for="number">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number" placeholder="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세요" id="number" name="phonenumber" /><br /><br />
        </p>
        <p>
            <label for="time"> 시간을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time" id="time" name="time" /><br /><br />
        </p>
        <button>제출하기</button>
    </form>
</body>
</html>

=> 이외에도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Input 에 많은 양식 종류가 나와있습니다. 

 

ㅁ placeholder

: placeholder 는 입력 폼에 미리 지정한 문구를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input type="입력 양식 종류" placeholder="미리 표시할 문구">
ex)
<input type="text" placeholder="아이디를 입력하세요">

 

레이블 label

 

: 체크박스 등 입력 폼에 대한 설명을 만들어주기도 하며, 설명을 클릭해도 체크박스가 체크/해제 되도록 <input> 과 연결합니다.

<label for="input에서 지정한 id값"> 표시할 내용 </label>
<input type="입력 양식 종류" placeholder="미리 표시할 내용" id="___">
ex)
<label for="username"> 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text" placeholder="아이디를 입력하세요" id="username"/>

label을 작성하여 입력 폼 왼쪽의 "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 를 클릭하여도 입력 폼(input)이 선택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버튼 <button>

 

: 제출하기 버튼, 회원가입 버튼,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버튼 등 버튼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 <button> 은 작성된 코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므로 버튼을 눌렀을 때 작동할 구문과 같이 놓아야 합니다.

<button> 버튼에 표시할 내용 </button>
ex)
<button> 제출하기 </button>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Forms</title>
</head>
<body>
    <h1>Forms 연습</h1>
    <form action="/강아지/">
        <p>
            <label for="username"> 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text" placeholder="아이디를 입력하세요" id="username" name="username" /><br /><br />
        </p>
        <p>
            <label for="password"> 패스워드를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password" placeholder="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id="password" name="password" /><br /><br />
        </p>
        <p>
            <label for="color"> 색상을 선택하세요 : </label>
            <input type="color" id="color" name="color" /><br /><br />
        </p>
        <p>
            <label for="number">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number" placeholder="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세요" id="number" name="phonenumber" /><br /><br />
        </p>
        <p>
            <label for="time"> 시간을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time" id="time" name="time" /><br /><br />
        </p>
        <button>제출하기</button>
    </form>
</body>
</html>

 

이름 속성(name)

 

: <input> 양식 컨트롤의 이름을 말하며, name="값" 형태로 전송됩니다.

<input type="text" name="이름 값">
ex)
<input type="text" name="username" placeholder="아이디를 입력하세요" id=username">

입력 폼에 "안녕하세요"라는 아이디를 입력하면
URL에 username=안녕하세요 라고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상태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됩니다.

 

Google 검색창 만들기

 

: 입력 폼에 검색값을 입력할 시 구글에서 검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제 구글에서 사용하는 검색 방식을 따라야합니다.

 

=> 구글에서 "cat"을 검색하면 아래만큼의 긴 URL이 나오는데 

https://www.google.com/search?q=cat&hl=ko&source=hp&ei=beSJY5enM52Ir7wPrayFmAY&iflsig=AJiK0e8AAAAAY4nyfbwW5tXhXjphqHVrGU04qyfINmTO&ved=0ahUKEwjXkbSO7dr7AhUdxIsBHS1WAWMQ4dUDCAs&uact=5&oq=cat&gs_lcp=Cgdnd3Mtd2l6EAMyCwguEIAEELEDENQCMhEILhCABBCxAxCDARDHARDRAzILCAAQgAQQsQMQgwEyCwgAEIAEELEDEIMBMgQIABADMgsIABCABBCxAxCDATIECC4QAzILCAAQgAQQsQMQgwEyCwgAEIAEELEDEIMBMggIABCABBCxAzoLCC4QgAQQsQMQgwE6BQguEIAEOg4ILhCABBCxAxDHARDRAzoFCAAQgARQAFjpCmCDDGgCcAB4AIABkQGIAdwEkgEDMC41mAEAoAEBsAEA&sclient=gws-wiz

 

=> 이는 전부가 꼭 필요한 URL이 아니기 때문에 필요한 URL만 가져옵니다.

https://www.google.com/search?q=cat

 

=> 이제 <form action="목적지"> 에는 https://www.google.com/search 주소를 지정하고, 입력 폼의 이름 속성에는 name="q"를 입력합니다.

<input> 태그의 name="값"은 google의 양식을 따라야하기 때문에 "q"로 지정해야 합니다.

 

=> 검색창 만들기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 form의 목적지는 구글 검색이기 때문에 /search까지 입력해야 합니다. -->
    <form action="https://www.google.com/search"> 
        <h1> Google </h1>
        <input type="text" name="q">     <!-- input 값이 무엇이든 /search로 전송됩니다.-->
        <button> 검색하기 </button>
    </form>
</body>

</html>

text 입력 폼에 cat을 입력 후 검색하기 버튼을 누르면
구글에서 cat을 검색하게 됩니다.

 

라디오 버튼, 체크박스, 선택창

 

ㅁ 체크 박스

: 동의 여부 등을 확인할 때 체크박스를 사용합니다. 

<form action="목적지">
    <label for="checkbox">동의여부</label>
    <input type="checkbox" name="checkbox" id="checkbox">  
    <!-- 체크박스를 체크된 상태로 보여주기 위해서는 checked를 넣어주면 됩니다 -->
    <!-- <input type="checkbox" checked>  -->
</form>

 

ㅁ 라디오 버튼

: 여러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 여러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같은 그룹으로 묶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연결시켜줘야 합니다. 

: 하나의 그룹으로 묶기 위해서는 name 속성을 같은 값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 여러 항목 중 선택된 값을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value 속성을 지정해줘야 합니다.

<input type="radio" name="___" id="___" value="___">
ex)
        <h2>라디오 버튼</h2>
        <p>
            <label for="1020"> 10~20대</label>
            <input type="radio" name="age" id="1020" value="10~20">
            <label for="3040"> 30~40대</label>
            <input type="radio" name="age" id="3040" value="30~40">
            <label for="5060"> 50~60대</label>
            <input type="radio" name="age" id="5060" value="50~60">
        </p>
        <button> 제출하기 </button>

 

=> 체크박스와 10~20대를 선택한 후 제출하기를 누르면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2> </h2>
    <form action="/cats">
        <h2>체크박스</h2>
        <label for="checkbox">동의여부</label>
        <input type="checkbox" name="checkbox" id="checkbox"> <!-- 체크박스 -->

        <h2>라디오 버튼</h2>
        <p>
            <label for="1020"> 10~20대</label>
            <input type="radio" name="age" id="1020" value="10~20">
            <label for="3040"> 30~40대</label>
            <input type="radio" name="age" id="3040" value="30~40">
            <label for="5060"> 50~60대</label>
            <input type="radio" name="age" id="5060" value="50~60">
        </p>
        <button> 제출하기 </button>


    </form>
</body>

</html>

=> 아래와 같이 checkbox=on 과 age=10~20 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heckbox=on 이라는 것은 체크박스가 체크되었다는 것이고, age=10~20은 라디오 버튼 항목들 중 10~20대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10~20대의 value 값인 10~20이 서버로 보내지게 됩니다.

 

ㅁ select

: 드롭다운 메뉴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 <select> 요소와 <option> 요소가 함께 기능하여 나오는 결과물입니다. 

: <select> 는 상위 요소이며, <option> 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역할을 합니다. 

: <option> 은 드롭다운 메뉴의 목록을 만들 때 사용하며, value 속성과 함께 사용합니다.

<select name="___" id="___">
    <option value="___"> 메뉴 목록1 </option>
    <option value="___"> 메뉴 목록2 </option>
    <option value="___"> 메뉴 목록3 </option>
    <!-- 미리 값을 선택해놓기 위해서는 selected 속성을 추가하면 됩니다. -->
    <!-- <option value="___" selected> 메뉴 목록 </option> -->
</select>

ex)
        <p>
            <label for="fruits"> 과일 종류</label>
            <select name="fruits" id="fruits">
                <option value="apple">사과</option>
                <option value="orange">오렌지</option>
                <option value="banana">바나나</option>
                <option value="mango">망고</option>
                <option value="pear">배</option>
            </select>
        </p>

 

범위 range / 숫자 number

 

ㅁ <input type="range">

: range 입력은 슬라이더를 만들어서 사용자가 범위 내에서 값을 선택할 수 있게 합니다.

: 최소값과 최대값을 정할 수 있습니다.

<input type="range" id="___" name="___" min="___" max="___">
ex)
        <p>
            <label for="age"> 나이 </label>
            <input type="range" id="age" name="age" min="0" max="100">
        </p>

위의 range 슬라이더에서 선택한 값이 79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step 속성을 적용할 경우, x만큼씩 증가하며 슬라이더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

        <p>
            <label for="age"> 나이 </label>
            <input type="range" id="age" name="age" min="0" max="100" step="20">
        </p>                  <!-- step="20"으로 인해 슬라이더는 20만큼씩 움직이게 됩니다. -->

 

ㅁ <input type="number">

: 숫자를 입력하는 폼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input type="number" placeholder="미리 표시할 문구" name="___" min="최소값" max="최대값">
ex)
<input type="number" placeholder="0" name="number" min="1" max="20">

 

텍스트 영역 <textarea>

 

: 사용자가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공간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textarea id="___"> </textarea>
<!-- 텍스트영역의 행과 열의 수는 rows와 cols를 통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ex)
        <p>
            <label for="question"> 질문을 작성하세요.</label> <br>
            <textarea id="question" name="question" rows="20" cols="20" placeholder="질문을 작성하세요"></textarea>
        </p>

 

폼의 유효성 검사 require

 

: 유효성 검사는 일반적으로 제한을 추가하거나 사용자 입력 또는 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 어떤 입력 칸은 비어 있으면 안되거나 비밀번호의 길이를 제한하는 등 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 require 속성을 입력하면 필수 입력을 만들 수 있습니다. 

<input type="___" name="___" id="___" required>     
<!-- required로 인해 필수로 입력해야 하는 폼이 되었습니다 -->
ex)
    <h2> 유효성 검사 </h2>
    <form action="/dummy">
        <p>
            <label for="first"> 성을 입력하세요. </label>
            <input type="text" name="first" id="first" required>
        </p>
        <button> 제출하기 </button>
    </form>

required 속성으로 인해 필수로 입력해야 하는 폼이 되었기 때문에 제출하기를 누르면 "이 입력란을 작성하세요."라는 문구가 뜹니다.&nbsp; 문구는 브라우저마다 다릅니다.

 

ㅁ minlength / maxlength

: 최소 입력 길이와 최대 입력 길이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h2> 유효성 검사 </h2>
    <form action="/dummy">
        <p>
            <label for="first"> 성을 입력하세요. </label>
            <input type="text" name="first" id="first" required>
        </p>

        <p>
            <label for="username"> Username </label>
            <input type="text" id="username" name="username" minlength="7" maxlength="15">
        </p>
        <button> 제출하기 </button>

    </form>
</body>

</html>

minlength="7"로 인해 최소 입력 값은 7 글자 이상이어야 하며,
maxlength="15"로 인해 입력 폼이 가질 수 있는 최대 글자 수는 15글자 입니다.

 

=> 유효성 검사 문구는 작성한 코드에 따라 관련된 문구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폼을 만들기 위해 <input type="email" required> 로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이메일 형식(@)에 맞도록 유효성 검사를 진행합니다.

type="email" 이기 때문에 이메일 형식에 맞추도록 안내를 해줍니다. 단, 실제로 있는 이메일인지 판단은 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형식을 맞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연습하기

 

: 지금까지 배웠던 내용들로 간단한 페이지 만들어보기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 놀이공원 입장권 구매 페이지</title>
</head>

<body>
    <h1> 놀이공원 입장권 구매</h1>
    <form action="/">
        <div>
            <!-- action 속성은 데이터를 어디로 제출할지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
            <laebl for="first"> 성을 입력하세요 : </laebl>
            <input type="text" id="first" name="firstname" placeholder="성" required>
            <laebl for="last"> 이름을 입력하세요 : </laebl>
            <input type="text" id="last" name="lastname" placeholder="이름" required>
        </div>

        <p> * 이용 시간을 선택하세요. </p>
        <!-- 라디오 버튼 항목을 하나로 묶을 때는 name 속성의 값을 갖게 해줘야 합니다. -->
        <div>
            <input type="radio" name="time" id="morning" value="8~12">
            <label for="morning"> 오전 8시 ~ 오후 12시 </label>
        </div>
        <div>
            <input type="radio" name="time" id="afternoon" value="1~6">
            <label for="afternoon"> 오후 1시 ~ 오후 6시</label>
        </div>
        <div>
            <input type="radio" name="time" id="night" value="7~12">
            <label for="night"> 저녁 7시 ~ 저녁 12시</label>
        </div>
        <br>
        <div>
            <label for="id">아이디를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text" name="id" id="id" placeholder="아아디" required>
            <label for="password">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 </label>
            <input type="password" name="password" id="password" placeholder="비밀번호" required>
        </div>
        <br>
        <div>
            <label for="age"> 연령대를 입력하세요 : </label>
            <select name="age" id="age">
                <option value="0~9">0~9</option>
                <option value="10~19">10~19</option>
                <option value="20~29">20~29</option>
                <option value="30~39">30~39</option>
                <option value="40~49">40~49</option>
                <option value="50~59">50~59</option>
            </select>
        </div>
        <br>
        <button> 제출하기</button>
    </form>

</body>

</html>

 

=> 입력한 내용에 따라 URL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공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선택자  (1) 2023.03.21
CSS : 기초  (1) 2023.03.21
HTML : 시맨틱(Semantics)  (0) 2023.03.21
HTML 기초  (0) 2023.03.21
웹 개발  (1) 2023.03.21